이전은 록키 리눅스를 설치했습니다.
오늘은 mariadb를 설치해보려고 해요 아직까지 Rocky의 정식 버전은 나오지 않았습다만
Centos에서 MariaDB를 설치했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해서 설치하고 서비스가 올라오는 하는 것까지 실습하겠습니다.
불안정하기 때문에 어떤 오류가 발생할지는....
제가 설치하고자 하는 MariaDB는 Version은 10.3 입니다.
먼저 MariaDB간단히 소개드리자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DBMS입니다.
무료이다 보니 메뉴얼이나 각종 정보들이 많아 즐겨 사용하는 DBMS 입니다!
Mysql을 사용하셧던 분들이라면 더욱이 쉽게 사용하실 수 있다는게 장점 이네요.
자 시작하겠습니다!
1. MaraDB 저장소를 추가 합니다.
1
|
vi /etc/yum.repos.d/MariaDB.repo
|
cs |
2. Vi Edit가 실행되며 repository 설정값을 아래와 같이 해줍니다.
1
2
3
4
5
6
|
[mariadb]
name = MariaDB
baseurl = http://yum.mariadb.org/10.3/centos7-amd64/
gpgkey = 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
gpgcheck = 1
|
cs |
버전별 설정은 설정값중 baseurl의 정보를 변경하시면 됩니다.
3. yum 명령을 통해 MaraDB 설치를 합니다.
4. 설치 완료..rem -qa 명령을 사용하여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후 mariadb를 시작합니다.
1
|
rpm -qa | grep -i mariadb
systemctl start mariadb |
cs |
5. 정상적으로 mariadb가 실행되며 서비스 포트까지 확인됩니다.
1
|
ps -ef | grep mariadb
|
cs |
다음에는 HeidiSQL로 원격지에서 Rocky OS에 설치된 MariaDB에 접속하는 방법에대해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가질게요!
'Operating System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Window에서 WSL을 통해 리눅스 GUI 앱 실행 (0) | 2021.08.15 |
---|---|
[Rocky Linux] 록키 리눅스 최신 업데이트 적용 방법 (2) | 2021.07.31 |
[Rocky Linux] 록키 리눅스 문서 (0) | 2021.07.30 |
[Rocky Linux] 록키 리눅스 소개/설치 (0) | 2021.07.19 |